(캐나다) 리스 맨데스 캐나다 중앙은행 부총재는 물가가 하락하는 상황을 만들려는 시도가 단기적으로는 이익처럼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캐나다인들에게 더 큰 고통을 안겨줄 것이라고 경고했다.
맨데스 부총재는 샬럿타운에서 열린 연설에서 물가 상승률을 2%로 유지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안정적인 효과를 가져온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물가를 낮추려면 금리를 더 높여야 하며, 이 과정에서 경제에 추가적인 부담을 주게 된다고 설명했다. 높은 금리는 대출 이자와 기업의 비용을 증가시켜 결국 생활비가 더 오르게 된다.
그는 물가 하락을 목표로 한 정책이 소비자들의 물가 상승에 대한 기대를 바꾸어놓을 수 있으며, 이는 소비자들이 구매를 미루게 만드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런 상황이 지속되면, 기업들이 가격을 더 낮추려고 할 수 있는데, 이것이 다시 소비자들이 더 지연된 구매를 하도록 유도하는 악순환을 일으킬 수 있다.
맨데스 부총재는 이와 같은 디플레이션 사이클을 피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일이라고 강조하며, 물가 상승률을 목표인 2%로 유지하는 것이 경제 안정성을 확보하는 데 더 유리하다고 말했다.
10월 캐나다의 물가 상승률은 다시 2%로 목표에 도달했지만, 여전히 많은 캐나다인들이 높은 생활비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맨데스는 일부 사람들은 임금 상승이 물가 상승을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고 인정했지만, 중앙은행의 통화 정책은 이러한 불평등을 해결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밝혔다.
한편, 트뤼도 총리는 12월 14일(토)부터 일부 소비품에 대해 두 달 간 GST 면세를 시행 하고, 2023년에 일하고 15만 달러 이하를 번 캐나다인들에게 250달러의 지원금을 지급하는 ‘워킹 캐네디언 환급’ 계획을 발표했다. 이는 단기적으로는 경제를 살리는 것 처럼 보일 수 있지만, 근본적인 문제 해결에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임영택 기자 (edit@cktimes.net)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