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미국 연방정부와 의회가 부채한도 상향 협상에서 여전히 타결을 보지 못하면서 글로벌 경제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경제전문가들에 따르면 이달 안에 해결되지 않으면 6월 1일부터 미국은 채무불이행(디폴트) 상황을 맞게되며 이로인한 파장이 전세계에 파급돼 글로벌 불황까지 불러오게 된다.
미국 신용평가전문사 ‘무디스’의 마크 잔디 경제수석은 “미국은 물론 그 어느나라도 이 파장을 피해가지 못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미 연방행정부와 의회가 부채한도선을 높이는데 실패하면 미국에서만 일자리 1백50만개가 사라질 것”이라며 “해결책을 찾지못해 양측이 대립하는 상황이 계속될 경우 미국인 7백80만여명이 일자리를 잃게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미국 연방정부는 국채 발행을 통해 차입할 수 있는 돈의 규모를 의회의 승인을 거쳐야 시행할 수 있다.
미국 의회가 부채 한도 조정 권한을 갖고 이를 둘러싼 여야의 줄다리기가 거의 해마다 벌어지고 있으며 이번에는 야당인 공화당이 장악한 하원이 바이든 대통령이 이끄는 행정부와 대립해 협상에서 진전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전세계에 걸쳐 금융활동은 미국의 재정 건전성에 영향을 바로 받고 있으며 미국 국채는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자산으로 꼽히고 있다.
콘넬대학의 에스워 프라새다 경제학 교수는 “디폴트는 재앙적인 결과를 가져올 것이며 세계 최대 규모인 미국 경제와 글로벌 금융시스템이 위기를 초래할 것”이라며 “우크라이나 사태와 여러 국가의 고물가 및 금리인상 등 경제적으로 부정적인 요인들이 산적한 상황에서 미국의 디폴트는 엄청난 악재로 작용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협상 마감일이 다가올수록 미 국채 가격은 약세(금리는 상승)를 보이고 있다.
이는 부채 한도 협상이 결렬돼 디폴트가 발생할 경우 연방정부가 국채 상환이나 이자 지급을 제대로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장홍철 기자 (news@cktimes.net)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