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5일 이시바 시게루(石破茂) 일본 총리는 “(한국) 국내적으로는 상당한 비판, 반발이 있어도 윤석열 대통령은 일·한관계 개선이 한국 국익이라는 신념을 갖고 추진해왔다”며 “이런 윤석열 대통령의 노력을 해쳐선 안 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날 열린 중의원 예산위원회에 참석한 이시바 총리는 한국 계엄 사태에 따른 한·일관계 영향을 묻는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입헌민주당 대표 질의에 이같이 답했다.
이시바 총리는 그러면서 내년에 맞이하게 되는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에 ‘의미’를 부여했다. “일본에 있어서도 60주년을 축하하고, 의미를 되새기는 것을 하고 싶다고 생각한다”면서다. 계엄 탄핵에 따른 한·일관계 영향은 “예단할 수 없는 일”이라며 언급을 피한 것과는 대조적인 발언이다.
이시바 총리는 강제징용 배상 문제에 대해 제3자 변제라는 해법으로 한·일관계를 급속도로 개선했던 윤 대통령에 대해 줄곧 호의적인 태도를 보여왔자. 앞서 그는 전날 한국 정치 상황에 대한 회의를 주재하기도 했다. 약 30분간 진행된 회의에는 이시바 총리 외에 하야시 요시마사(林芳正) 관방장관, 이와야 다케시(岩屋毅) 외상, 나카타니 겐(中谷元) 방위상, 아키바 다케오(秋葉剛男) 국가안전보장국장 등이 참석했다. 회의에 대해 하야시 관방장관은 이날 “한국을 포함한 제반 정세에 대해 정보를 공유하고 의견을 교환했다”고만 짧게 밝혔을 뿐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았다.
일본 언론 “윤 대통령, 민주화 역사 부정”
윤석열 대통령이 대국민담화문을 열고 '비상계엄'을 선포한 지난 3일 밤 서울역 대합실에서 시민들이 관련 뉴스를 시청하고 있다. 뉴스1
이날 요미우리신문을 비롯해 아사히·마이니치·니혼게이자이(닛케이)·도쿄신문 등 일본 언론들은 계엄 탄핵 상황을 일제히 1면 머리기사로 전했다. 그러면서 윤 대통령의 급작스러운 계엄 선포에 대해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폭거’라거나 ‘독선’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면서 강도 높게 비판했다.
요미우리는 사설에서 “윤 대통령이 국정 정체를 계엄령이라는 강권(強權) 수법으로 타파하려 했지만 외려 자신을 궁지로 몰아넣는 결과가 됐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북한의 강권 체제를 비난하고 자유 질서를 지킨다고 말하면서 국회에 군을 투입하는 등 강권을 휘두른 것은 본말전도”라고 꼬집었다.
닛케이도 ‘한국 민주화 역사를 부정하는 비상계엄’이란 제목의 사설을 실었다. 그러면서 “윤 대통령은 야당이 국정을 마비시킨 것이 ‘내란을 꾀한 반국가행위’라고 하지만 윤 대통령의 판단이야말로 민주화 역사를 부정하는 것”이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아사히는 사설을 통해 윤 대통령의 책임 있는 결단을 주장하기도 했다. 아사히는 “윤석열 대통령은 민주주의를 위기에 빠뜨린 책임을 인식하고, 스스로 진퇴를 포함한 국민 심판을 진지하게 마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아사히는 별도 기사를 통해 윤 대통령을 애주가로 소개하며 지난해 3월 일본을 방문했을 당시 에피소드를 전하기도 했다. 당시 윤 대통령은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와 정상회담을 갖고 두 차례 자리를 이동하며 만찬을 나눴는데 술자리가 길어지자 김건희 여사가 화를 냈다는 이야기를 전했다.
아사히는 윤 대통령에 대해 “자신이 생각이 옳다고 믿고 밀어붙이는 ‘독선’이 지적받아 왔다”며 “지난 4월에 치러진 총선거에서 여당이 대패한 것이 (윤 대통령의) ‘대화 부재’ 정치 스타일에 의한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고 보도했다.
토론토중앙일보 (news@cktimes.net)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