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앙의 전조? '지구 종말' 별명 > 뉴스

본문 바로가기
토론토 중앙일보
뉴스 사회 재앙의 전조? '지구 종말' 별명
사회

재앙의 전조? '지구 종말' 별명
9m 넘게 자란다는데…이 녀석 죽은채 발견

토론토중앙일보 2024-08-16 0
녹고 있는 남극의 빙하. 둠스데이(종말의 날) 빙하로 불리는 스웨이츠는 이미 지난 30년간 바닷물 온도 상승으로 녹는 속도가 두 배가량 빨라진 상황이다. [출처=영국 남극자연환경연구소(BAS)]
녹고 있는 남극의 빙하. 둠스데이(종말의 날) 빙하로 불리는 스웨이츠는 이미 지난 30년간 바닷물 온도 상승으로 녹는 속도가 두 배가량 빨라진 상황이다. [출처=영국 남극자연환경연구소(BAS)]

(국제) '최후의 날 물고기'라는 별명으로 불리는 산갈치가 미국 캘리포니아 남부 해안에서 발견됐다. 이 산갈치는 심해 희귀 어종으로 세계 일부 지역에선 재앙의 전조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아직까지 과학적 근거는 없다.

미 CBS뉴스는 지난 10일 캘리포니아 라호이아 코브 해안에서 카약과 스노클링을 즐기던 사람들이 길이 3.66m에 달하는 죽어 있는 산갈치를 발견했다고 15일 보도했다.

미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UC 샌디에이고) 스크립스 해양연구소에 따르면 산갈치는 길이가 9m 넘게 자랄 수 있다. 산갈치는 일반적으로 심해에 살기 때문에 병들거나 죽었을 때 또는 방향 감각을 잃을 경우 수면 가까이 올라와 발견된다고 한다.

1901년 이후 123년간 캘리포니아 해안에 떠밀려온 산갈치는 20마리라고 스크립스 해양연구소는 밝혔다. 이 연구소는 미 국립해양대기청(NOAA) 남서부수산과학센터와 함께 이번에 발견된 산갈치의 사인을 밝히기 위해 부검을 진행하기로 했다. 이후 이 산갈치를 세계에서 가장 큰 심해어 전시관 중 하나인 스크립스 해양 척추동물 컬렉션에 전시할 예정이다.

산갈치에는 지진 등 재앙의 전조라는 속설이 있다. 이번에 산갈치가 발견된 이틀 뒤인 12일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LA)에서 규모 4.4의 지진이 발생했지만 상호 관련성은 확인된 건 없다.

2011년 동일본 대지진이 발생하기 전에 산갈치 20마리가 일본 해안에 떠밀려온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1928~2011년 산갈치 등 심해어 출현과 일본 지진 간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이런 속설은 근거 없는 미신이라는 일본 도카이(東海)대와 시즈오카(靜岡)현립대 연구팀의 조사 결과가 2019년 나왔다.

토론토중앙일보 (news@cktimes.net)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뉴스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