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캐나다 경력’을 요구하는 고용주들의 관행이 신규 이민자들의 취업을 막고 있는 것으로 지적된 가운데 온타리오주 보수당정부가 이를 금지하는 법안을 추진하고 있다.
온주정부는 지난 11월4일 ‘Bill 149’로 명명된 관련법안을 주의회에 상정했으며 현재 입법절차가 진행 중이다.
캐나다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온주는 새 이민자들의 선호하는 정착지로 주정부는 이들의 취업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 이같은 관행을 없앨 것이라고 강조했다.
데이비드 픽시니 온주 노동장관은 “오랫동안 고학력 이민자들이 이같은 관행으로 자신들의 전공분야에 취업하지 못하고 단순직에 연연해 생계를 이어가고 있다”면서 ”이는 경제성장에 기여할 수 있는 고급인력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잘못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법안이 발효되면 거의 모든 직종에 적용되며 모국에서 쌓아온 경력을 인정하는 새로운 가이드라인으로 새 이민자들의 취업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온주 건설업계에 따르면 온주 건설인력 8만2천6백여명이 은퇴를 앞두고 있어 심한 인력난이 우려되고 있다.
로열뱅크의 크레어 판 경제수석은 “전국에 걸쳐 인력난이 가중되고 있으나 이민자 인력을 방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토론토메트로폴리탄대학의 우사 조지 교수는 “이민자들이 캐나다 인구 증가와 경제성장에 크게 기여하고 있으나 이들은 취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특히 전문직종의 경우 캐나다 경력 등 까다로운 요구조전으로 고급인력이 제자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인도에서 마케팅 고위직으로 20여년간 일하다 지난 2007년 캐나다로 이민 온 라마 크리시난은 글로벌뉴스와 인터뷰에서 “취업인터뷰 때마다 캐나다 경력을 질문을 받았다”며 “이민 온 것을 후회하기까지 했다”고 말했다.
그는 “저임금 일자리를 구해 생계를 유지하고 있다”며 “기회를 주지 않고 캐나다 경력만 요구하는 것은 차별이나 다름없다”고 주장했다.
토론토중앙일보 (news@cktimes.net)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