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주민 소득 증가율 저조 > 뉴스

본문 바로가기
토론토 중앙일보
뉴스 경제 캐나다 주민 소득 증가율 저조
경제

캐나다 주민 소득 증가율 저조
1930년 대공황 이후 가장 늦은 증가속도

장홍철 기자 2023-07-12 0

(캐나다) 캐나다 1인당 소득 증가율이 1930년 대공황이후 가장 저조한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민간 연구소인 ‘프레이져 인스티튜트(FI)’는 관련 보고서를 통해 “경제 번영의 기준 중 하나인 1인당 국내 총생산을 물가상승분을 반영해 분석한 결과 지난 2013년부터 2022년까지 0.8% 증가하는데 그쳤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FI의 필립 크로스 수석연구원은 “캐나다 경제 성장은 위기 상황을 맞고 있으며 이는 정부 정책이 가장 큰 문제 요인이다”라며 “연방정부는 코로나 사태가 문제라고 변명해선 안 되며 이와 같은 저조한 증가세는 이미 2000년 초반부터 시작됐다”고 말했다.

크로스 수석연구원에 따르면 지난 2016년부터 2022년까지 캐나다의 1인당 국민총생산은 2.8% 늘어난 반면 미국은 11.7% 증가했다.

크로스 연구원은 “이는 결국 원인이 외부적인 요인 때문이 아니라 내부적인 문제 탓”이라며 “정책 입안자들이 경제 성장과 투자에 보다 초점을 두었다면 이 같은 저조한 성적표를 받아들이지 않았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4분기 기업 투자는 1,898억달러로 2014년과 비교해 17.6%나 적었고 총 수출액도 2014년이후 거의 제자리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국제통화기금(IMF)은 올해와 내년 캐나다 경제의 실질 성장율이 주요 선진국들 중 미국 다음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IMF는 올해 미국의 경제성장율을 1.6% 로 예상했으며 캐나다는 1.5%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캐나다 경제 전문가들은 이민자들이 주도하는 인구 증가세로 내수 시장이 활기를 띠면서 경제 성장을 부채질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캐나다는 연방자유당정부의 이민문화 확대 정책에 따라2025년까지 3년간 140여만명의 새 이민자들이 캐나다에 정착할 것으로 추산됐다.

장홍철 기자 (news@cktimes.net)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뉴스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