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토·해밀턴 주택구입 여건 크게 개선 > 뉴스

본문 바로가기
토론토 중앙일보
뉴스 문화 토론토·해밀턴 주택구입 여건 크게 개선
문화

토론토·해밀턴 주택구입 여건 크게 개선
지역별 격차는 여전

임영택 기자 2025-10-07 0
(토론토) 최근 캐나다 의회예산국이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전국적으로 주택구입을 위한 부담이 완화되고 있다. 다만 도시별 양상은 크게 엇갈리며, 여전히 일부 지역에서는 주택 가격 부담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부담 격차 절반 이하로 줄어
PBO의 제이슨 자크 임시 책임자는 최근 상원 은행위원회에서 주택 보고서를 공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평균 주택 가격과 가구 소득 간의 주택 부담 격차는 2023년 9월 80% 수준에서 2025년 8월에는 34%까지 좁혀졌다. 금리 인하, 임금 상승, 주택 가격 하락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코로나19 이후 급등했던 집값은 캐나다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진정세를 보였고, 현재는 2.5% 수준의 정책금리가 모기지 비용을 낮추는 데 기여하고 있다.

도시마다 다른 현실
자크 책임자는 “사람들은 ‘캐나다’에 사는 것이 아니라, 각 도시의 주택에 산다”며 지역별 상황을 강조했다. 실제로 보고서는 가장 비싼 시장이었던 토론토와 해밀턴에서 개선 폭이 두드러졌음을 보여줬다. 그러나 해당 도시들의 집값은 여전히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이다.

반대로 할리팩스는 평균 가계가 감당할 수 있는 주택 가격보다 실제 집값이 74% 더 높아, 부담 격차가 가장 큰 도시로 나타났고, 에드먼턴은 4%로 가장 낮았다. 캘거리, 몬트리올, 퀘벡은 부담이 다소 증가했지만, 상대적으로 모기지 상환 능력은 안정적인 편이다.

공급 확대 논쟁
캐나다 모기지주택공사(CMHC)는 2035년까지 연간 주택 공급을 48만 채 수준으로 늘려야 한다고 전망했다. 연방정부는 건축 속도를 두 배로 높이겠다고 공언했지만, 세제 혜택이나 정부 역할을 둘러싼 논쟁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공공주택 확대의 한계
그렉 로버트슨 주택부 장관은 “집값 하락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라며, 새로 만든 Build Canada Homes 프로그램을 통해 정부가 공급하는 저렴한 공공주택을 늘려 주택 부담 격차를 줄이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공공주택 확대만으로는 단기적인 효과가 제한적이라며, 대다수 캐나다인이 실제로 거주하거나 구입하는 일반 시장 주택의 가격을 안정시키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임영택 기자 (edit@cktimes.net)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뉴스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