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타와)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제 47대 대통령으로 재선되면서 캐나다의 알루미늄, 철강, 자동차 제조업이 다시 한번 큰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첫 임기였던 지난 2018년, 그는 캐나다산 알루미늄과 철강에 각각 10%와 25%의 관세를 부과한 바 있다. 이로 인해 양국 기업들은 원자재 가격 상승 부담을 겪었으며, 일부 기업은 폐업 위기에 처하기도 했다.
장 시마르드 캐나다 알루미늄협회(AAC) 회장은 차기 트럼프 정부는 이전보다 더 신속하게 보호주의 정책이 강화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트럼프의 정책은 ‘미국 우선’에 기반을 두고 있어 동맹국조차 배제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연방 정부는 트럼프 정부 출범에 대비해 움직이고 있다. 저스틴 트뤼도 총리는 미국과의 관계 강화를 위해 캐나다-미국 관계 내각 위원회를 재가동했으며, 크리스티아 프리랜드 연방 재무부 장관 겸 부총리가 위원장으로서 이를 이끌 예정이다. 프리랜드 부총리는 트럼프의 첫 임기 당시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을 재협상한 경험이 있다. 이번에도 프리랜드 부총리는 철강업계와 긴밀히 협력해 재선에 따른 무역 장벽에 대응할 계획이다.
캐서린 코브덴 캐나다 철강 생산협회(CSPA) 회장은 지난 2018년 관세가 캐나다 경제에 미친 부정적 영향을 지적하며, “미국과 캐나다는 철강 산업에서 긴밀히 연결되어 있어, 관세는 양국 모두에게 해가 된다”고 설명했다. 캐나다 철강업계는 약 12만 3천 명을 고용하고 있으며, 생산량의 절반은 미국으로 수출되고 있다.
경제학자들은 캐나다산 제품에 대한 관세가 미국 경제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분석한다. 트레버 톰브 캘거리 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는 북미의 공급망, 특히 자동차 부품 생산 과정이 양국 간에 밀접하게 얽혀 있어 관세 부과가 공급망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TD 은행의 보고서에 따르면, 트럼프의 전면적 관세 정책이 도입될 경우 캐나다의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향후 2년 동안 약 2.4% 하락할 수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미국의 대중 무역 정책 변화가 캐나다에게 새로운 기회를 열 수 있다고 기대하고 있다. 브라이언 킹스턴 캐나다 자동차제조업협회(CVMA) 회장은 “미국이 중국과의 무역 관계를 단절하려는 상황에서 캐나다는 신뢰할 수 있는 공급망 파트너로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며, 특히 전기차와 같은 미래 산업에서 양국의 협력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알루미늄업계와 철강업계는 이미 트럼프 행정부 2기에 대비해 협상 전략을 마련 중이며, 정부와 협력해 무역 장애물에 대처할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시마르드 회장은 “캐나다는 단결된 대응을 해야 하며, 노동자와 지역사회 모두가 함께 참여하는 비정파적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태형 기자 (edit@cktimes.net)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