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 알버타 주정부의 새로운 지침은 신청자들에게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처리 시간을 단축하고 효율성을 높일 것이라는 주장과는 달리, 현실적으로는 신청자들에게 더 큰 부담을 안길 가능성이 큽니다. 첫 신청 접수가 시작된 6월 11일 하루 동안 시스템은 매우 불안정한 상태를 보였습니다. Service Unavailable, We are experiencing significant technical difficulties and are working to address them. We apologize for the inconvenience and thank you for your patience, A timeout occurred 등 에러메세지가 뜨면서 포털에 접속하는 것 조차 어려운 상황이었고, 실제 접속되어 신청서 작성을 하는 과정에서도 국가 및 도시 검색기능, 저장기능 등의 오류가 지속적으로 발생하였습니다.
AAIP와 같은 주정부 이민 프로그램은 이민법을 통해 운영되는 연방 프로그램과 달리 주정부의 규정에 따르므로 주정부의 경제적 요구에 따라 사전에 통지 없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지난 3월 THS 프로그램 접수와 오늘 처음 이루어진 추가 접수 과정은 분명 수정 보완이 필요해 보입니다. 적어도 프로그램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시스템 개선이 필요하며, 7번의 추가 접수가 끝나는 내년에는 현재의 방식이 유지되지 않을 가능성도 보입니다.
점수제 프로그램이 1차 풀 등록을 위해 우선 자격 확인 과정을 한 번 거치는 것과 달리, AOS를 포함한 모든 AAIP 프로그램은 점수 없이 선착순으로 심사되므로, 미리 완벽한 내용과 서류를 준비하고 제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캐나다 정부의 입장에서는 신청 희망자가 한 해 쿼터에 비해 지나치게 많은 현상이 지속된다면 점수제 방식으로 전환될 가능성은 언제든지 존재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