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적 변화와 2025년 전망>
2025년 총선을 앞두고 보수당(CPC)의 지지율이 상승하면서 정책 변화의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보수당은 난민 및 임시 외국인 근로자 프로그램(TFWP)의 오남용에 엄격한 잣대를 유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정권이 교체되는 만큼 캐나다 경제가 요구하는 방향으로 적극 조정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 외에도 캐나다는 현재 미국과의 국경 문제 역시 정책 변화의 배경이 되고 있습니다. 캐나다는 불법 이민 통제를 강화하지 않을 경우, 미국의 관세 부과 가능성 등 외부 압력을 받고 있습니다.
1. 새로운 프로그램 활용
새로 시행될 농촌 및 프랑코폰 커뮤니티 이민 클래스는 기존 프로그램에 비해 비교적 더 수월하게 영주권을 받을 수 있는 경로가 될 것으로 예측되며, 이 두 프로그램의 가능성을 우선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프랑스어가 가능한 경우 미리 성적을 준비하여 프랑코폰 프로그램 시행 초기에 기회를 노려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
2. Express Entry 전략 재정비
LMIA 점수 폐지로 CRS 점수 조정 가능성이 큽니다. 점수 배점이 변경되면 본인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전략을 재정비할 필요가 있습니다. 지난해부터 Express Entry는 ***별로 별도 초청을 하고 있기 때문에 해당 직업군에 속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보는 것도 좋은 전략이 될 것입니다.
2024년은 캐나다 이민 정책이 대대적으로 변화한 해로, 국가적 이익과 사회적 요구를 반영한 정책 조정이 이루어졌습니다. 2025년은 변화된 환경 속에서 새로운 기회를 모색하는 시기가 될 것입니다. 철저한 준비와 유연한 대응이 성공적인 이민의 열쇠가 될 것입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