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RSP로 세금 줄이고 집 사는 법 (RRSP소득공제와 HBP 전략)(2-5) > 오피니언

본문 바로가기
토론토 중앙일보
오피니언 김시홍 회계 칼럼 RRSP로 세금 줄이고 집 사는 법 (RRSP소득공제와 HBP 전략)(2-5)
김시홍 회계 칼럼

RRSP로 세금 줄이고 집 사는 법 (RRSP소득공제와 HBP 전략)(2-5)

김시홍 2025-02-14 0

RRSP 납입한도와 초과납입 주의

RRSP는 납입한도를 주의해서 관리할 필요가 있습니다. 한도를 초과하여 RRSP 계좌에 자금을 입금하면 벌금(과태료)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금융기관은 고객의 RRSP 한도가 얼마인지 별도로 관리를 해주지 않기 때문에, 각 개인 납세자가 CRA(캐나다 국세청)로부터 받은 Notice of Assessment (NOA, 세금평가 통지서)를 확인하며 한도를 스스로 관리해야 합니다.

 

① RRSP 납입한도 계산 방식

RRSP 납입한도는 두 가지 기준 중 낮은 금액으로 결정됩니다.

기여소득(Earned Income) 18%

CRA가 매년 설정하는 고정 한도

아무리 기여소득이 많아도 CRA에서 정한 한도를 초과하여 RRSP 기여 한도를 받을 수는 없습니다.

2024년 최대 RRSP 납입한도: $31,560

2025년 최대 RRSP 납입한도: $32,490

 

기여소득(Earned Income)의 범위

기여소득(Earned Income)은 근로 및 사업활동을 통해 벌어들인 소득을 의미하며, 다음과 같은 소득이 포함됩니다.

근로소득 (Employment Income)

자영업 소득 (Self-employment Income)

순 임대소득 (Net Rental Income)

과세 대상 이혼 수당 (Taxable Spousal Support Payments)

일정 조건을 충족하는 연구 활동 보조금 (Eligible Research Grants)

 

③ RRSP 초과 납입(Over-contribution) 시 벌금

CRA에서는 $2,000까지의 초과 납입은 벌금을 부과하지 않지만, 이를 초과하는 금액에 대해서는 매월 1%의 벌금이 부과됩니다. 따라서, RRSP 납입한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NOA를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경우에 따라서, 근로자가 RRSP에 납입을 하는 경우 회사가 일정금액을 매칭해서 기여해주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런 경우 매월 자동이체로 RRSP 기여를 설정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초과 납입 벌금을 방지하기 위해 RRSP 계좌를 이용한 자동 이체(Auto Contribution)금액을 주의해서 설정해야 하며, NOA에 있는 본인의 기여한도를 잘 고려해서 관리해야 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오피니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