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RSP로 세금 줄이고 집 사는 법 (RRSP소득공제와 HBP 전략)(5-5) > 오피니언

본문 바로가기
토론토 중앙일보
오피니언 김시홍 회계 칼럼 RRSP로 세금 줄이고 집 사는 법 (RRSP소득공제와 HBP 전략)(5-5)
김시홍 회계 칼럼

RRSP로 세금 줄이고 집 사는 법 (RRSP소득공제와 HBP 전략)(5-5)

김시홍 2025-03-07 0

RRSP HBP 인출금의 상환

HBP를 통해 RRSP에서 자금을 인출한 후에는, 일정 기간 내에 이를 분할 상환해야 합니다. 정해진 상환 금액을 기한 내에 상환하지 못하면, 미상환 금액이 해당 연도의 과세소득으로 포함되어 소득세가 부과됩니다.

 

① HBP 상환 일정 및 변경 사항

기존에는 **HBP 인출 후 2년의 거치 기간(Repayment Grace Period) 15년의 상환 기간(Repayment Period)**이 적용되었습니다. 그러나 2024년 연방정부 예산안에서 거치 기간이 5년으로 연장되었습니다.

변경된 HBP 거치 및 상환 일정의 적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2022년부터 2025년 말까지 인출한 HBP 금액 → 5년 거치 후 15년간 상환

2021년 이전에 인출한 HBP 금액기존과 동일하게 2년 거치 후 15년간 상환

 

이제 2022~2025년 사이에 HBP를 통해 인출한 금액에 대해서는 최대 5년간 상환을 유예할 수 있으며, 이후 15년 동안 매년 정해진 최소 상환액을 RRSP 계좌로 납입하면 됩니다.

 

상환 방식과 유의할 점

HBP 상환액은 매년 일정 금액 이상을 납입해야 하며, 추가 상환도 가능 합니다.

상환 기한을 맞추기 위해 RRSP 납입 기한과 동일한 시점까지 RRSP 계좌에 납입해야 합니다.

기한 내 상환하지 않으면, 상환하지 못한 금액이 해당 연도의 소득으로 간주되어 과세됩니다. RRSP 인출금같이 처리 됩니다.

 

결론

캐나다에서 소득세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는 먼저 본인의 NOA(Notice of Assessment)에서 RRSP 공제 한도를 확인하고, 이를 활용한 절세 전략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본인의 거주용 주택을 구입할 계획이 있다면, HBP(Home Buyers’ Plan)를 활용하여 RRSP에서 자금을 세금 없이 인출하는 것이 유리한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HBP를 이용하면 추가적인 과세 부담 없이 RRSP에 예치한 자금을 주택 구입 자금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금융기관 대출을 통한 이자 부담을 줄이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HBP를 사용한 후에는 정해진 기간 내에 반드시 상환해야 하며, 이를 위한 현금흐름 관리도 필요합니다.

결국, RRSP는 단순한 노후 대비 저축 수단이 아니라, 세금 절감과 주택 구입을 위한 강력한 금융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소득 수준과 재정 상황에 맞는 RRSP HBP 활용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오피니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