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한 경우에는 개인 상황이 변화했기 때문에 새로운 세액 공제를 반영하기 위해 TD1 양식을 작성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고용주가 적절한 세금을 원천징수세로 차감할 수 있게 됩니다.
만약 현재 충분한 세금이 원천징수세로 차감되지 않아 매년 세금 보고 시에 과도한 세금을 납부해야 하는 경우, 고용주에게 추가적인 세금 차감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이는 개인의 세무 상황에 따라 조정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됩니다.
개인의 상황이 변하지 않는 한, TD1 양식은 처음 고용되었을 때 한 번만 작성하여 고용주에게 제출하면 됩니다.
TD1 작성방법
TD1 양식은 개인의 세금 차감을 위해 사용되는 중요한 문서입니다. 이 양식을 작성할 때에는 다음의 단계를 따르면 됩니다.
TD1 양식의 처음 12개의 라인을 살펴봅니다. 이 라인에는 non-refundable tax credit으로 개인의 세금 보고 시 필요한 세액 공제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캐나다 거주자가 모두 동일하게 받을 수 있는 basic personal amount, 65세 이상인 경우 받을 수 있는 age amount, 연금을 받는 경우 청구할 수 있는 pension income amount, 대학 과정을 수강하는 경우 청구할 수 있는 tuition amount, 장애가 있는 경우 청구할 수 있는 disability amount, 소득이 없는 배우자를 부양하는 경우 청구할 수 있는 spouse amount, 자녀를 부양하는 경우 청구할 수 있는 eligible dependents amount, 그리고 자녀가 장애가 있는 경우 청구할 수 있는 disability tax credit amount 등이 있습니다.
또한 납입자(Contributor)가 있습니다. 이분들은 RDSP 계정에 납입하는 개인들입니다. 납입자는 세납자 자신이 될 수도 있습니다. 친인척 또는 세납자의 친구도 납입할 수 있습니다.
RDSP의 수혜자는 캐나다 시민이어야 하지만 납입자는 캐나다인이 아니어도 됩니다. 장애가 있는 성인은 18세 이상이면 RDSP 계정을 시작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세납자의 부모가 대신 개설할 것입니다.
RDSP에 있는 금액은 해당 펀드의 수혜자, 즉 장애가 있는 세납자에게만 지급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펀드가 다른 사람에게 지급되는 것을 방지합니다.
RDSP의 수혜자가 될 수 있는 분들은 장기적인 장애가 있는 분들이어야 합니다. 이 경우, 먼저 의사로부터 T2201 Disability Tax Credit Certificate 양식을 승인받은 후에 세무청에 제출해야 합니다. 그리고 Disability Tax Credit이 승인되면 RDSP 계정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다시 말씀드리자면, RDSP의 수혜자는 Social Insurance Number를 가진 캐나다 거주자여야 합니다.
RDSP 계정에 1달러를 납입할 때마다 정부는 추가적으로 3달러를 RDSP 보조금으로 납입합니다.
만약 저소득자로 분류된 경우, 캐나다 정부는 추가로 1,000달러를 납입할 것입니다. 이 금액을 받기 위해 필요한 납입 금액은 없습니다.
Detect languageAfrikaansAlbanianAmharicArabicArmenianAssameseAymaraAzerbaijaniBambaraBashkirBasqueBelarusianBengaliBhojpuriBosnianBulgarianCantonese (Traditional)CatalanCebuanoChichewaChinese (Literary)Chinese SimpChinese TradChuvashCorsicanCroatianCzechDanishDariDhivehiDogriDutchEmojiEnglishEnglish United KingdomEsperantoEstonianEweFaroeseFijianFilipinoFinnishFrenchFrench (Canada)FrisianGalicianGandaGeorgianGermanGreekGuaraniGujaratiHaitian CreoleHausaHawaiianHebrewHill MariHindiHmongHungarianIcelandicIgboIlocanoIndonesianInuinnaqtunInuktitutInuktitut (Latin)IrishItalianJapaneseJavaneseKannadaKazakhKazakh (Latin)KhmerKinyarwandaKlingon (Latin)KonkaniKoreanKrioKurdish (Kurmanji)Kurdish (Sorani)KyrgyzLaoLatinLatvianLingalaLithuanianLower SorbianLuxembourgishMacedonianMaithiliMalagasyMalayMalayalamMalteseMaoriMarathiMariMeiteilon (Manipuri)MizoMongolianMongolian (Traditional)Myanmar (Burmese)NepaliNorwegianNyanjaOdia (Oriya)OromoPapiamentoPashtoPersianPolishPortuguese (Brazil)Portuguese (Portugal)PunjabiQuechuaQuertaro OtomiRomanianRundiRussianSamoanSanskritScots GaelicSepediSerbianSerbian (Cyrillic)Serbian (Latin)SesothoSetswanaShonaSindhiSinhalaSlovakSlovenianSomaliSpanishSundaneseSwahiliSwedishTagalogTahitianTajikTamilTatarTeluguThaiTibetanTigrinyaTonganTsongaTurkishTurkmenTwiUdmurtUkrainianUpper SorbianUrduUyghurUzbekUzbek (Cyrillic)VietnameseWelshXhosaYakutYiddishYorubaYucatec MayaZulu
KoreanEnglishArabic-------- [ All ] --------AfrikaansAlbanianAmharicArabicArmenianAssameseAymaraAzerbaijaniBambaraBashkirBasqueBelarusianBengaliBhojpuriBosnianBulgarianCantonese (Traditional)CatalanCebuanoChichewaChinese (Literary)Chinese SimpChinese TradChuvashCorsicanCroatianCzechDanishDariDhivehiDogriDutchEmojiEnglishEnglish United KingdomEsperantoEstonianEweFaroeseFijianFilipinoFinnishFrenchFrench (Canada)FrisianGalicianGandaGeorgianGermanGreekGuaraniGujaratiHaitian CreoleHausaHawaiianHebrewHill MariHindiHmongHungarianIcelandicIgboIlocanoIndonesianInuinnaqtunInuktitutInuktitut (Latin)IrishItalianJapaneseJavaneseKannadaKazakhKazakh (Latin)KhmerKinyarwandaKlingon (Latin)KonkaniKoreanKrioKurdish (Kurmanji)Kurdish (Sorani)KyrgyzLaoLatinLatvianLingalaLithuanianLower SorbianLuxembourgishMacedonianMaithiliMalagasyMalayMalayalamMalteseMaoriMarathiMariMeiteilon (Manipuri)MizoMongolianMongolian (Traditional)Myanmar (Burmese)NepaliNorwegianNyanjaOdia (Oriya)OromoPapiamentoPashtoPersianPolishPortuguese (Brazil)Portuguese (Portugal)PunjabiQuechuaQuertaro OtomiRomanianRundiRussianSamoanSanskritScots GaelicSepediSerbianSerbian (Cyrillic)Serbian (Latin)SesothoSetswanaShonaSindhiSinhalaSlovakSlovenianSomaliSpanishSundaneseSwahiliSwedishTagalogTahitianTajikTamilTatarTeluguThaiTibetanTigrinyaTonganTsongaTurkishTurkmenTwiUdmurtUkrainianUpper SorbianUrduUyghurUzbekUzbek (Cyrillic)VietnameseWelshXhosaYakutYiddishYorubaYucatec MayaZulu
또한 납입자(Contributor)가 있습니다. 이분들은 RDSP 계정에 납입하는 개인들입니다. 납입자는 세납자 자신이 될 수도 있습니다. 친인척 또는 세납자의 친구도 납입할 수 있습니다.
RDSP의 수혜자는 캐나다 시민이어야 하지만 납입자는 캐나다인이 아니어도 됩니다. 장애가 있는 성인은 18세 이상이면 RDSP 계정을 시작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세납자의 부모가 대신 개설할 것입니다.
RDSP에 있는 금액은 해당 펀드의 수혜자, 즉 장애가 있는 세납자에게만 지급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펀드가 다른 사람에게 지급되는 것을 방지합니다.
RDSP의 수혜자가 될 수 있는 분들은 장기적인 장애가 있는 분들이어야 합니다. 이 경우, 먼저 의사로부터 T2201 Disability Tax Credit Certificate 양식을 승인받은 후에 세무청에 제출해야 합니다. 그리고 Disability Tax Credit이 승인되면 RDSP 계정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다시 말씀드리자면, RDSP의 수혜자는 Social Insurance Number를 가진 캐나다 거주자여야 합니다.
RDSP 계정에 1달러를 납입할 때마다 정부는 추가적으로 3달러를 RDSP 보조금으로 납입합니다.
만약 저소득자로 분류된 경우, 캐나다 정부는 추가로 1,000달러를 납입할 것입니다. 이 금액을 받기 위해 필요한 납입 금액은 없습니다.
Text-to-speech function is limited to 200 characters
Options :
History :
Feedback :
Donate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