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토) 북한인권협의회(회장 이경복, 이하 북인협)이 주최한 ‘북한인권의 날’ 제12주년 기념행사가 지난 9월 27일(토) 쏜힐 소재 본한인교회에서 성황리에 개최되었다. 이날 행사에는 한인뿐 아니라 현지 인권단체 활동가 및 학계 인사 등 다양한 인종과 세대를 아우르는 참석자들이 함께해, 북한인권 문제에 대한 국제사회의 지속적 관심과 연대의 중요성을 다시금 확인하는 자리가 되었다.
안창호 국가인권위원회 위원장 1부 기념식에서는 여야 연방의원들이 보내온 영상 축사가 소개되었고, 이어 안창호 대한민국 국가인권위원회 위원장이 축사를 전했다. 안 위원장은 최근 발표된 유엔 북한인권조사위원회(COI) 보고서를 인용하며, 북한 내 정보통제의 심화와 여성, 아동, 장애인 등 취약계층에 대한 조직적 인권침해 실태를 지적했다. 그는 “성폭력, 인신매매 등 중대한 인권유린 사례가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며, “북한인권 문제를 끊임없이 공론화하고 고민하는 것이야말로 우리 시대의 사명”이라고 강조했다.
동아대학교 강동완 교수와 이경복 회장 2부 포럼은 ‘권리와 정의(Rights and Justice)’를 주제로 열렸으며, 동아대학교 강동완 교수와 이경복 북인협 회장의 대담을 시작으로, 맥매스터대학 송재윤 교수와 유엔 자의적구금실무그룹(WGAD) 위원으로 최근 위촉된 신희석 박사의 발표가 이어졌다. 발표자들은 ‘권리의 침해와 사법정의’를 중심으로 한반도 인권 상황을 심도 있게 분석하며, 참가자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이날 포럼에서는 특히 현 한국 정부의 대북 정책과 탈북민 관련 인식에 대한 비판이 집중적으로 제기되었다. 강동완 교수는 “북한 체제는 2,500만 주민을 감금한 감옥국가이며, 김정은 일가를 위해 존재하는 노예제 국가”라고 규정했다. 그는 이어 “이러한 체제를 사실상 ‘존중’한다고 밝힌 한국의 현 정부는 북한 주민의 고통을 외면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북한인권협의회 이경복 회장 이경복 회장은 “탈북민을 ‘북향민’이라 부르려는 시도는, 국제법상 난민지위를 부정하려는 불순한 의도가 깔려 있다”며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또, “통일부 장관이 ‘대한민국의 존재 자체가 북한에 위협’이라고 발언하는 시대”라며 “이쯤 되면 대한민국을 김정은에게 바치려는 것이냐”고 성토했다.
한편, 이 회장은 이번 포럼에서 제기된 주요 내용을 정리해 조만간 캐나다 연방의회에 ‘북한문제 결의안’ 채택을 촉구하는 공식 청원서를 제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한 북미 지역 한인사회의 지속적인 관심을 확인하는 자리였을 뿐만 아니라, 국제사회의 연대를 강화하고 실질적인 행동을 이끌어내기 위한 촉매제가 되었음을 평가받고 있다.